이탈리아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제국은 고대 로마 제국을 계승하려는 이탈리아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의미하며,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식민지 쟁탈전에 참여하여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집권하면서 파시즘 정권 하에 본격적인 제국주의 정책이 추진되었고,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를 건설하며 영토를 확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이후 연합군에 의해 패배하면서 식민지를 상실하고, 1947년 파리 강화 조약으로 제국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에 관한 목록 - 이탈리아 의회
이탈리아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며, 1948년 헌법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입법, 행정부 감시, 대통령 선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2020년 헌법 개정으로 상원 의원 수와 하원 의원 수가 감축되었다. - 이탈리아에 관한 목록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1882년 설립 - 우에노 동물원
우에노 동물원은 도쿄 우에노 공원에 위치한 일본 최초의 동물원으로, 500종 이상의 다양한 동물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비극적인 역사와 재건을 거쳐 현대적인 동물원으로 발전해왔다. - 1882년 설립 - 리숀레지온
리숀레지온은 이스라엘 중부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1882년 시온주의 개척자들에 의해 세워졌으며, 농업 정착지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로스차일드 남작의 지원과 빌루임의 합류, 이스라엘 독립 기여를 통해 경제, 문화, 교육 중심지로 성장했다. - 근대 유럽 식민주의사 - 포르투갈 제국
포르투갈 제국은 1415년 세우타 정복으로 시작하여 1999년 마카오 반환으로 해체된 포르투갈 왕국의 식민 제국이며, 대항해 시대를 주도하며 브라질,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식민지를 건설했고, 20세기 후반 식민지 독립과 마카오 반환을 거쳐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로 문화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 근대 유럽 식민주의사 - 파쇼다 사건
파쇼다 사건은 1898년 아프리카 분할 시기, 수단의 파쇼다에서 영국과 프랑스가 제국주의적 야망으로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군의 파쇼다 점령 후 영국군의 도착으로 군사적 충돌 위기가 있었으나 프랑스의 철수로 종결되었고, 이후 영불 협약의 계기가 되어 유럽 열강의 식민지 경쟁과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이탈리아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현지 이름 | Impero italiano |
나라 이름 | 이탈리아 |
다른 표기 | Impero italiano |
존속 기간 시작 | 1882년 |
존속 기간 끝 | 1960년 |
국기 그림 | Flag of Italy (1861-1946) crowned.svg |
문장 그림 | Coat of arms of the Kingdom of Italy (1890).svg |
면적 | 3,775,294 |
지도자 | |
지도자 칭호 | 국왕 |
1869년–1878년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
1878년–1900년 | 움베르토 1세 |
1900년–1946년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1946년 | 움베르토 2세 |
사건 | |
사건 | 아사브 매매 |
사건 날짜 | 1869년 |
사건 |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 |
사건 날짜 | 1882년 |
사건 | 에리트레아 전쟁 |
사건 날짜 | 1887년–1889년 |
사건 |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
사건 날짜 | 1889년 |
사건 | 의화단 운동 |
사건 날짜 | 1899년–1901년 |
사건 |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
사건 날짜 | 1911년–1912년 |
사건 | 알바니아 보호령 |
사건 날짜 | 1917년–1920년 |
사건 | 리비아 강화조약 |
사건 날짜 | 1923년–1932년 |
사건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사건 날짜 | 1935년–1937년 |
사건 | 알바니아 보호령 |
사건 날짜 | 1939년–1943년 |
사건 | 동아프리카 전역 |
사건 날짜 | 1940년–1941년 |
사건 | 북아프리카 전역 |
사건 날짜 | 1940년–1943년 |
사건 | 제국의 공식 포기 |
사건 날짜 | 1947년 |
사건 |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
사건 날짜 | 1950년–1960년 |
2. 역사
이탈리아의 식민주의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중세 시대 베네치아 공화국과 제노바 공화국 등 해양 강국들이 지중해 무역을 장악하면서 세력을 확장했다. 19세기 말, 통일된 이탈리아 왕국은 다른 유럽 열강들과 마찬가지로 식민지 쟁탈전에 뛰어들었다.
1882년, 이탈리아는 홍해 연안의 아사브를 거점으로 에리트레아를 식민지로 삼았고, 1889년에는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를 건설했다. 그러나 1896년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아드와 전투의 패배로 에티오피아 침공은 실패로 끝났다.[20] 이후 마흐디 전쟁에 참전하여 세로베티 전투 등에서 승리하였다.[21]
1911년, 이탈리아는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을 통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리비아와 도데카니사 제도를 빼앗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런던 조약에 따라 트리에스테, 남티롤 등 새로운 영토를 획득했지만, 달마티아 문제 등으로 인해 베르사유 조약에서 약속받은 만큼의 영토를 얻지 못했다.
베니토 무솔리니 집권 후, 이탈리아는 파시즘 이념 아래 더욱 적극적인 팽창 정책을 펼쳤다. 1923년 로잔 조약을 통해 도데카니사 제도에 대한 주권을 확보하고, 같은 해 코르푸 사건을 일으켜 그리스를 압박했다. 1935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을 일으켜 에티오피아를 점령하고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를 건설했다. 1939년에는 알바니아를 침공하여 합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는 추축국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프랑스, 영국, 그리스 등과 전쟁을 벌였다. 프랑스 남부, 영국령 소말릴란드, 이집트 일부, 그리스 대부분을 점령했지만, 1943년 연합군에 의해 모든 점령지를 상실했다.
1947년 파리 조약 체결로 이탈리아는 모든 식민지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 1960년 소말리아 독립으로 이탈리아의 식민지 시대는 완전히 막을 내렸다.
2. 1. 배경과 통일 이전 시대
고대 로마 시대의 '마레 노스트룸'('우리 바다', 지중해를 가리킴)이라는 관념은 오래전부터 이탈리아 제국주의, 특히나 파시스트 시대 제국주의의 기반이 되었다.[5] 중세 및 근세 기간,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등은 각각 베네치아 제국 및 제노바 제국으로 알려진 지중해의 식민지들을 지배했다.15세기와 16세기 사이, 이탈리아의 탐험가들은 아메리카 대륙의 유럽 식민지들에 대한 식민지 사업에 기여를 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제노바 출신, 스페인에서 활동), 아메리고 베스푸치(피렌체 출신, 포르투갈에서 활동), 캐벗 형제(베네치아 출신, 잉글랜드에서 활동), 조반니 다 베라차노(피렌체 출신, 프랑스에서 활동)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르네상스 시기 유럽 식민 세력 간의 결정권자 역할을 했었던 대표적인 교황을 제외하면, 그 어떠한 이탈리아 세력권도 아메리카 대륙 쟁탈전에서 활발한 역할을 한 바가 없었다. 대양으로 자유로운 접근을 할 수 없던 국제 해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이탈리아의 지리적 위치는 온전한 지중해 정책에 기여했다.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1세는 잉글랜드인 선장 로버트 손턴의 지휘하에 1608년 브라질 북부 및 아마존강 탐험을 위한 탐험대를 조직하며, 오늘날 프랑스령 기아나에 아메리카 대륙 내 식민지를 만들려는 이탈리아의 유일한 시도를 하였다. 그런데 1609년 예비 탐험을 하고 돌아오던 중에 손턴은 페르디난도 1세 사망 소식을 알게 되었고 그의 후임자인 코시모 2세는 이 계획에 관심이 없었다.
1651년, 이탈리아의 귀족이자 몰타의 구호기사단(당시 시칠리아 왕국의 종속국)의 단장이던 조반니 파올로 라스카리스는 세인트키츠, 생마르탱, 생바르텔레미, 세인트크로이섬 등 카리브해의 섬 네 곳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네 개 섬은 1651년부터 1665년까지 식민지이었다.[6][7] 대양에서 식민지를 건설하려던 시도는 더 이상 없었으며, 1797년에 베네치아와 제노바의 지중해 영토도 상실되고 말았다.
2. 2. 식민지 쟁탈전 (19세기 말 ~ 20세기 초)
19세기 말, 이탈리아는 통일된 민족 국가로서 유럽의 식민지 경쟁에 뒤늦게 참여하였다. 이탈리아는 '강대국의 최소'라는 상대적 약소국의 지위에 있었기에, 제국 건설을 위해 영국, 프랑스, 독일의 승인에 의존해야 했다.[8]이탈리아는 이탈리아계 튀니지인 공동체가 있던 오스만령 튀니지를 오랫동안 자국의 경제적 영향권 아래에 있다고 여겼다. 그러나 1881년, 프랑스가 바르도 조약을 통해 튀니지를 보호령으로 만들면서 이탈리아는 이른바 '튀니지 모욕'을 겪게 되었다.[10] 이러한 상황은 이탈리아가 1882년 독일 및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삼국 동맹을 체결하는 계기가 되었다.[11]

이탈리아 식민 제국의 기원은 1869년 이탈리아 항만사가 수에즈 운하 개통에 맞춰 석탄 보급항 건설을 위해 홍해의 아사브만을 구입하면서 시작되었다.[13] 1882년 이탈리아 정부가 아사브만을 인수하면서 이곳은 이탈리아 최초의 해외 영토가 되었다.[14]
이탈리아는 1885년 영국과의 비밀 협약을 통해 에리트레아의 마사와를 합병하고, 아프리카의 뿔 남쪽 지역을 점령하여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를 건설했다.[16] 그러나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 제국 자체를 탐냈고, 1887년 에리트레아 전쟁을 일으켰으나 도갈리 전투에서 패배하며 중단되었다.[17] 이후 1889년 우치알리 조약을 체결하여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를 형성하고 에티오피아를 보호령으로 삼으려 했으나,[18] 1895년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 1896년 아드와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이 대패하며 실패로 끝났다.[20]
이탈리아는 마흐디 전쟁에도 참전하여 세로베티 전투, 제1차 아고르닷 전투, 제2차 아고르닷 전투, 카살라 전투 등에서 승리했다.[21]
1898년, 이탈리아는 중국 싼먼현 조계를 요구했으나 청나라 정부의 거부로 실패했다.[22] 그러나 이탈리아는 의화단 운동 진압에 참여한 국제 연합군의 일원으로서 1901년 톈진 조계를 획득했다.[23]

20세기 초, 이탈리아 민족주의 협회가 창단되는 등 민족주의 물결이 일면서 이탈리아 제국 팽창 주장이 힘을 얻었다. 1911년, 조반니 졸리티 수상은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을 일으켜 리비아와 도데카니사 제도를 획득했다.[24]
1912년 리비아 사막 전쟁에서는 역사상 최초로 무장된 전투 차량과 공군 전력이 상당수 동원되었다.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영향
1914년 이탈리아는 중립을 유지하며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지 않았다. 그러나 연합국은 1915년 런던 조약을 통해 오스트리아와 오스만의 영토를 약속하며 이탈리아를 참전시켰다.[25]전쟁에 직접 개입하기 전인 1914년 12월, 이탈리아는 알바니아의 항구 블로러를 점령했다.[1] 1916년 가을에는 알바니아 남부를 점령하고, 알바니아 비정규군을 징병했다.[1] 같은 해 8월 23일, 연합군의 허락을 받아 북이피로스를 점거하고 중립국 그리스 군대를 철수시켰다.[1] 1917년 6월, 이탈리아는 알바니아 중남부를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북부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 할양했다.[1] 1918년 10월 31일, 프랑스와 이탈리아 군대는 알바니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를 몰아냈다.[1] 그러나 1920년 알바니아인의 봉기로 인해 사잔섬을 제외한 점령 지역을 알바니아에 반환해야 했다.
달마티아는 이탈리아와 세르비아 모두 차지하려 했던 전략적 지역이었다. 런던 조약은 이탈리아에게 달마티아 상당 지역을 합병할 권리를 약속했다. 1918년 11월 5-6일부터 이탈리아 군대는 리사, 라고스타, 세베니코 등 달마티아 해안 지역에 도달했다.[26] 종전 무렵, 이탈리아 군대는 런던 조약으로 약속받은 달마티아 전체를 통제했고, 11월 17일에는 피우메도 점령했다.[27] 1918년, 엔리코 밀로 제독은 스스로 달마티아 총독이라 선포했다.[27] 이탈리아 민족주의자 가브리엘레 단눈치오는 달마티아 점령을 지지하며 1918년 12월 이탈리아 전함을 타고 차라(오늘날 자다르)를 방문했다.[28]
그러나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서 이탈리아는 약속받은 것보다 적은 영토를 얻었고, 해외 위임 통치령은 전혀 얻지 못했다.
2. 4. 파시즘과 이탈리아 제국 (1922년 ~ 1943년)
무솔리니 집권 후 이탈리아는 파시즘의 영향 아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추구했다. 1923년 로잔 조약을 통해 도데카네스 제도에 대한 주권을 확보하고,[30] 같은 해 코르푸 사건을 일으켜 그리스를 압박했다. 영국과의 협상을 통해 1924년 주바랜드를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에 합병했다.[30]1920년대 말부터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팽창을 강조했다.[31] 그는 이탈리아가 지중해의 지배 세력이 되어야 하며, 대서양과 인도양으로 진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1] 1939년 문서 '대양으로의 전진'에서 무솔리니는 해양 지위가 국가 독립을 결정하며, 이탈리아는 지중해의 죄수라고 표현했다.[32] 그는 코르시카, 튀니지, 몰타, 키프로스를 감옥의 창살로, 지브롤터와 수에즈를 간수로 비유하며, 이 창살을 부숴야 한다고 주장했다.[32]
발칸반도에서 이탈리아는 달마티아를 요구하고 알바니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등에 대한 야망을 드러냈다.[33] 오스트리아,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등과도 종속 관계를 맺으려 했다.[33]
1932년과 1935년, 이탈리아는 프랑스에 독일령 카메룬과 에티오피아에 대한 자유 행동권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35] 1935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을 일으켜 에티오피아를 점령하고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를 건설했다. 1936년 무솔리니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에티오피아 황제로 선포하며 이탈리아 제국을 선포했다.[36]
1939년 알바니아를 침공하여 합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영국령 소말리아, 프랑스 남동부, 이집트 서부, 그리스 대부분을 점령했지만, 1943년 연합군에 의해 상실했다.
스페인 내전에서 이탈리아는 프란치스코 프랑코를 지원하며 발레아레스 제도 점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38],[39],[40] 1938년 영국과 부활절 합의 이후, 무솔리니는 프랑스에 지부티, 튀니지, 수에즈 운하 조계를 요구했다.[41]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에 대한 영향권을 요구하며 수에즈 운하회사에 이탈리아 대표를 요구하기도 했다.[42]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제국의 몰락 (1939년 ~ 1947년)
무솔리니는 1940년 6월 아돌프 히틀러와 같은 편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이탈리아의 영토를 확장하려 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 서부, 프랑스 남부, 코르시카, 몰타, 튀니지, 알제리 일부, 모로코의 대서양 항구, 프랑스령 소말리아, 영국의 이집트 및 수단을 목표로 했다.[45] 1940년 6월 10일, 무솔리니는 영국과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했다.[46]1940년 10월, 무솔리니는 알바니아에서 시작되는 그리스 침공을 명령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47] 1941년 4월, 독일은 유고슬라비아 침공과 그리스 공격을 지원했다. 이탈리아는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 일부 지배권을 얻었다. 사보이아 왕가의 제4대 아오스타 공작 아이모네 대공이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왕으로 임명되었다.
영국 본토 항공전이 정점에 달했을 때, 이탈리아군은 수에즈 운하 장악을 목표로 이집트 침공을 벌였다. 1940년 9월 16일, 이탈리아군은 국경을 넘어 전진했다. 그러나 12월, 영국군의 컴퍼스 작전으로 이탈리아 제10 야전군은 리비아로 밀려났다.[48] 독일의 개입으로 리비아와 추축 동맹군의 공격 붕괴를 막았고 엘 알라메인에서 멈출 때까지 영국군을 1942년 4월까지 이집트로 밀어냈다. 비시 프랑스의 모로코 및 알제리에 대한 연합군의 개입으로 독일과 이탈리아 병력은 1942년 말에 튀니지로 진격했지만, 이집트의 병력은 얼마 안 되어 리비아로 퇴각했다. 1943년 5월 튀니지의 추축군은 항복했다.
동아프리카 전역은 이탈리아 군대가 영국령 케냐, 영국령 소말리아, 수단으로 진격하며 시작됐다.[49] 1940년 여름, 이탈리아 병력은 영국령 소말리아 전역을 성공적으로 침공했다.[50] 그러나, 1941년 봄, 영국 측이 반격했고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까지 깊숙이 밀어냈다. 5월 5일, 에티오피아의 하일레 셀라시에 1세가 왕위를 되찾기 위해 아디스 아바바로 돌아왔다. 11월, 마지막 남은 이탈리아의 조직적 저항은 곤다르 함락으로 끝났다.[51] 항복 이후에도, 일부 이탈리아인들은 게릴라전을 이어나갔다.
1942년 11월, 독일군이 안톤 작전 중에 비시 프랑스를 점령하자, 이탈리아의 프랑스 점령지는 코르시카까지 그 범위를 늘렸다.

1943년 가을, 이탈리아 제국과 이탈리아 제국주의의 꿈은 사실상 끝났다. 5월 7일, 튀니지의 추축군 항복과 계속된 이탈리아군의 패전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로 하여금 무솔리니 제거 계획을 세우게 했다. 시칠리아 침공 이후, 파시즘 대평의회는 7월 24일에 무솔리니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가결했다. 무솔리니는 체포되었다가 9월 12일 독일 공수 부대에 의해 구출되어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지도자가 되었다.
7월 25일 이후, 피에트로 바돌리오가 이끄는 새 이탈리아 정부는 비밀리에 연합군과 협상을 시작했다. 연합군의 이탈리아 침공이 시작되었던 살레르노 상륙이 시작됐을 무렵, 비밀리에 연합군과 휴전 협정을 맺었다. 9월 8일, 휴전 협정이 공식화되었다.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도데카네스 제도 등에서 독일군은 옛 이탈리아 동맹군을 공격하며 이탈리아의 통치를 끝냈다. 도데카니사 전역에서, 이탈리아 군대와 합동으로 도데카네스 제도를 회복하려는 연합군의 시도는 모두 독일군의 승리로 끝났다. 중국에서, 일본 제국군이 텐진의 이탈리아 조계지를 점령하였다. 1943년 하반기에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은 일본의 허수아비 정권인 중화민국 난징 국민정부에 조계지의 소유권을 넘겼다.
1947년, 이탈리아와의 휴전 협정은 제국을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 트폴리타니아 (이탈리아령 리비아의 주)를 유지하려던 논쟁이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1949년 11월, 옛 이탈리아령 소말리아가 이탈리아 행정 당국의 관리 하 10년간 국제연합의 신탁통치령이 되었다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1960년 7월 1일, 소말리아는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합병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했다.
3. 옛 식민지, 보호령, 점령지 목록
-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 (1882년–1947년)
-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1889년–1947년)
- 올트레 지우바 (1924년-1926년)
-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1950년–1960년)
- 리비아 (1911년–1947년)
-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1911년–1934년)
- 이탈리아령 리비아 (1934년–1943년)
- 트란스유바 (1924년–1926년)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1936년–1941년)
- 이탈리아령 에티오피아 (1936년–1941년)
- 이탈리아의 중국 조계지
- 이탈리아의 텐진 조계지 (1901년–1943년)
- 이탈리아령 알바니아 (1917년–1920년, 1939년–1943년)
- 이탈리아령 에게해 제도 (1912년–1947년)
- 이탈리아의 프랑스 점령 (1940년–1943년)
- 이탈리아의 코르시카 점령 (1942년-1943년)
- 크로아티아 독립국 (1941년–1945년)
- 이탈리아령 몬테네그로 (1941년–1943년)
- 그리스국 (1941년–1943년)
- 튀니지 (1942년–1943년)

참조
[1]
서적
Armies in the Balkans 1914–18
Osprey Publishing
[2]
서적
Libya: A Country Study
[3]
저널
I censimenti nell'Italia unita I censimenti nell'Italia unita Le fonti di stato della popolazione tra il XIX e il XXI secolo ISTITUTO NAZIONALE DI STATISTICA SOCIETÀ ITALIANA DI DEMOGRAFIA STORICA Le fonti di stato della popolazione tra il XIX e il XXI secolo
http://www3.istat.it[...]
2013-12-24
[4]
웹사이트
Libya - History, People, & Government
https://www.britanni[...]
2018-01-11
[5]
서적
[6]
서적
The Chevalier de Montmagny (1601-1657): First Governor of New Franc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ttawa Press
[7]
서적
Knights Hospitallers of the Ven. Tongue of England in Malta
https://archive.org/[...]
AMS Press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Storia Militare della Colonia Eritrea, Vol. I
Ministero della Guerra
1935-00-00
[13]
웹사이트
Italian Colonial Rule
http://www.oxfordbib[...]
2017-10-12
[14]
서적
Reflections on the Battle of Adwa and Its Significance for Today
Algora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new Roman empire: Italy's bid for world power, 1890–1943
https://archive.org/[...]
[22]
서적
Italy’s Encounters with Modern China: Imperial Dreams, Strategic Ambit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3]
웹사이트
Self-portrait in a Convex Mirror: Colonial Italy Reflects on Tianjin
https://journals.ope[...]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History of Dalmatia
Giardini
[27]
서적
Mussolini in the First World War: the Journalist, the Soldier, the Fascist
Berg
[28]
서적
The Rise of Italian Fascism: 1918–1922
Routledge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Mussolini
Weidenfeld and Nicolson
[32]
서적
Vital crossroads: Mediterranean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1935–1940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33]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Routledge
[34]
서적
Military Effectiveness, Volume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Italian foreign policy in the interwar period, 1918–1940
https://books.google[...]
Praeger Publishers
[36]
서적
Guida dell'Africa Orientale Italiana
CTI
[37]
서적
Spain and the Great Powers in the Twentieth Century
Routledge
[3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fascism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W. W. Norton & Company
[40]
서적
The Road to Oran: Anglo-French Naval Relations, September 1939 – July 1940
[41]
서적
Vital Crossroads: Mediterranean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1935–1940
Cornell University
[42]
뉴스
French Army breaks a one-day strike and stands on guard against a land-hungry Italy
LIFE
1938-12-19
[43]
서적
[44]
웹사이트
Aosta on Alag?
https://web.archive.[...]
[45]
서적
[46]
서적
Hitler & Mussolini: The Secret Meetings
Enigma Books
[47]
서적
[48]
서적
[49]
이미지
Italian Map showing with green lines the territories conquered in 1940 by the Italians in Sudan and Kenya. British and French somaliland are shown in white, as part of the A.O.I. (Africa Orientale Italiana)
http://www.centrorsi[...]
[50]
서적
[5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